[[의정부=문양휘대기자] 의정부시의 재정난과 관련, 지역사회는 물론 공직세계가 혼돈으로 치닫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작금 재정난은 의정부시뿐만 아니라 중앙정부 58조원을 비롯, 경기도 2조원, 인천광역시 1천100억원등 세수결손 및 재정에 빨간불이 켜졌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중앙정부와 광역시,도는 지자제 교부세 감액은 물론 기금차입 및 지방채 발행을 고민해야 하는 처지에 놓여있다.
의정부시의 재정은 2023년도에는 300여억원의 부족분이 발생할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2024년에는 금년대비 최소 20%내지 50%의 예산이 삭감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의정부시의 재정악화는 이전부터 Signal이 있었다는게 지역의 여론으로, 이에대해 행정당국이 재정난에 안이하게 대처함으로써 4/4분기 직원들의 급여도 지급치 못할수 있다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확산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지역주민들은 의정부시가 재정난이 도래함을 충분히 인지했다는 합리적 의심을 가질 수밖에 없으며, 재정자립도가 낮은 시가 중앙정부나 경기도로부터 교부금이나 보조금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근본적 문제해결은 그렇다치더다도 재정난에 대한 불통행정을 一喝(일갈)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일갈이유로는 재정난과 관련, 출입기자단의 기자회견 및 간담회 및 보도자료를 통해 재정상태와 관련, 현재의 상황과 향후대책을 설명하고 더불어 지역주민들의 양해와 협조를 구하는 행정을 指向(지향) 함에도 불구하고 소통행정을 외면한 것에 따른 것에 따른 것이다.
행정당국은 왜? 지역여론을 “호미로 막을것을 가래”로도 막지못하는 累(누)를 범했는지 일반적 상식으로는 전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지역주민인 A모씨는 SNS를 통해 “시장이 현재 재정상태를 언론을 통해 시민들에게 보고하고 협조를 구하는게 우선이다”며“시민들의 알권리를 위해 기자회견이나 간담회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밝혔다.
B모씨도 “다른건 몰라도 빚을 내서라도 공무원 월급을 지급할것”이라며“ 회계도 엉망 이럴 줄 몰랐을까요? 추경을 잘했겠죠”라며 재정난과 불통의 행정을 꼬집었다.
행정당국에 바란다.
중앙정부나 경기도, 인천광역시도 재정난이 예상되는바, 의정부시에 한정된 문제만이 아닌 대한민국의 공통의 문제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
하지만 시가 재정난과 관련, 테스크포스팀을 가동했다거나 김동근시장 주재 국,과장이 참여하는 연석회의 조차 개최하지 않은 것은 위기의식 부재를 여실히 드러낸 것으로 비난을 면키 어렵게 됐지만 “소통부재에 따른 불통행정은 과거지사”이다.
향후에는 지역주민들에게 양해와 협조를 구할것은 구하고 질타를 받을 것은 받는다는 死卽生각오로, 의정부시 유사이래 최악의 재정난을 타개하는데 적극 노력해주길 바란다.